티스토리 뷰

반응형

회사의 돈을 증가시키는 증자의 의의

 증자는 말 그대로 자본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주식을 발행해서 합니다. 이를 통해서 자본금이 늘어나게 되는 구조입니다. 주식회사는 두 가지 방법을 자본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신주 발행을 통해서 하는 것, 돈을 빌리는 것. 증자는 전자의 경우입니다. 신주 발행을 통해서 하는 것입니다. 신주 발행을 하고 그 주식을 팔면 회사에 돈이 들어옵니다. '자본금'이 증가됩니다. 이게 바로 증자입니다. 여기서 돈을 받고 증자하면 유상증자. 돈 안 받고 무료로 증자하면 무상증자입니다. 유상증자는 회사에서 신주를 발행한 후 주주 또는 제3자에게 판매하여 자본금을 늘리는 행위입니다. 자금 조달을 할 때 부채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좋습니다. 유상증자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 '제삼자 배정유상증자' '주주배정 후 실권주 유상증자'입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많은 투자자들이 공포에 빠지게 됩니다. 반면에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는 모두를 웃음 짓게 만들죠.  증자라는 말이 쉽게 말하면 돈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그 쉬운 말은 증자라는 말을 써서 어렵게 한 이유는 앞서 살펴보앗듯 여러 종류로 돈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돈을 늘렸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닙니다. 어떻게 돈을 늘렸는지, 왜 돈을 늘렸는지 알아야합니다. 그래야 투자 판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주주에게 돈을 요구하는 주주배정 유상증자

 주주배정 유상증자는 기존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주주들에게만 신주인수권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오직 주식을 보유하고 있던 사람들만이 할 수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기존 주주가 참여하지 않아서 실권주가 생겼을 때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일반공모'가 진행됩니다. 이 것이 '주주배정 후 실권주 유상증자'입니다.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통계적으로 주주배정 유상증자가 나오면 악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 하한가 맞겠구나'라고 생각하는 게 마음이 편할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일단 주식수가 늘어나니까 안 좋습니다. 가치가 희석되니까요. 가치가 희석되면 주주로서 입지가 줄어들고, 주권에 대한 희소성 또한 없어집니다. 주주가 100명일 때와 1000명일 때, 같은 주식에 대한 권리가 희석되는 이치와 동일합니다. 

 게다가 유상증자 예정가액은 보통 현재 주가 대비 '큰폭'의 할인이 되어있습니다. 비싸면 주주들이 사지 않기 때문입니다. 기존주주 입장에서는 주권의 가치가 희석되어 손해이고, 예비주주 입장에서는 '가격이 싼 신주'가 유상증자로 추가 상장되면 오버행 이슈가 생기니 투자가 꺼려집니다. 그래서 순간 매수 심리는 크게 냉각되고 매도 심리는 강화되면서 주가가 폭락하게 됩니다. 오버행 이슈 : 주식시장에서 매물로 나올 수 있는 잠재적인 과잉물량을 의미한다. 공급 증가로 인한 강한 매도세를 이끌어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을 유발한다. 

 

주주보다는 외부 사람에게 돈을 요구 하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제3자 배정 유상증자의 경우는 '주주배정 유상증자'와 달리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새로운 투자자가 보통 SI(Strategic Investor, 전략적 투자자)인 경우나 해당 기업의 주주가 되려는 제삼자와 같이 해당 기업의 가치를 높게 평가해서 매수하는 주체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투자자들이 매수를 하는 만큼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는 해당 기업을 높게 평가해서 매수하려는 주체가 많은 편입니다. 실제로 주식 시장에서 평가도 좋은 편입니다.게다가 10억 이상의 제 3자 배정 유상증자일 경우 1년 이상의 보호예수를 해야 합니다. 법적인 의무사항입니다. 그렇게 되면 1년 이상은 시장에 팔지 못하는 주식이 됩니다. 이는 지금 당장은 주가 가치의 희석과 오버행 이슈에 대한 걱정이 없애줍니다. 주주배정 유상증자가 누군지도 모르고, 비자발적인 투자자가 주체인 반면 제 3자 배정 유상증자는 SI와 같은 이름 있는 투자자가 들어오는 것은 현격한 차이를 나타냅니다. 물론 제3자 유상증자라고 해서 항상 호재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매수 주체가 조합이거나 개인일 경우, 너무 싼 가격에 제 3자 배정을 받거나, 현재 주가가 고가인 상태에서 실시되는 경우, 등은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호재라고 볼 수 없습니다. 유상증자라고 무조건 악재 혹은 호재라고 판단하지 말고, 그 종목에 따라 판단하여야합니다.  

 

우리 회사 돈 많습니다! 자랑하는 무상증자 

 무상증자는 신주를 찍어서 대가 없이 기존 주주들에게 주는 겁니다. 기존 주주들이 가지고 있는 주식수에 비례하여 줍니다. 비율은 무상 증자 발표 시에 알려줍니다. 무상증자는 자본 잉여금을 사용해서 실시합니다. 그래서 무상증자를 실시하면, 자본 잉여금은 줄어들고 자본금은 증가하게 됩니다. 회사의 자본 잉여금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회사의 실질적인 재산을 늘어나지 않습니다. 간단히 생각하면 잉여금이 자본금으로 바뀐 것뿐입니다. 자본 잉여금을 많이 가지고 있어야 무상증자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즉, 회사가 영업이익을 잘 내고, 기업활동을 잘해서 잉여금을 쌓아두어야 할 수 있는 겁니다. 그래서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회사는 기업의 재무구조가 좋은 회사라고 시장에서 인식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인식으로 회사 주가는 상승하게 됩니다. 무상증자는 주주 친화적 요소입니다. 주식수가 늘어나긴 하지만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얻은 주식이라 거래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긍정적으로 시장에 작용하기도 합니다. 뉴스가 발표되는 순간 급격한 상승을 보여 보통 호재로 인식되고, 대부분의 경우 호재가 맞습니다. 하지만 무상증자라고 해서 항상 호재로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무상증자 이후에 곧이어 주식이 하락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래서 일부는 단기간 호재, 장기간 악재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또한 시황과 테마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따라서 주가가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